티스토리 뷰
목차
희토류는 2차전지, 전기차, 반도체, 군수산업 등 첨단기술 전반에 활용되는 전략자원입니다.
미·중 공급망 전쟁이 심화됨에 따라 희토류 ETF는 테마주보다 **더 넓고 안정적인 투자 방식**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희토류 ETF의 종류, 수급 흐름, 투자 전략을 정리합니다.
1. 희토류 ETF란?
희토류 ETF는 **희토류 채굴·정제·공급에 관여하는 글로벌 기업들로 구성된 상장지수펀드**입니다.
✔ 직접 희토류 원소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✔ 희토류 산업 가치사슬에 참여한 기업들의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.
주요 구성 기업:
– 희토류 채굴 기업 (MP Materials, Lynas 등)
– 정제·가공 기업
– 첨단자석·모터 응용 기업
– 희귀금속 유통업체
2. 글로벌 희토류 수급 현황
✔ 세계 희토류 생산의 약 80~90%를 중국이 차지
✔ 미국, 유럽, 일본은 ‘脫중국 공급망’ 강화 추진 중
✔ 한국도 희유금속 전략 비축 사업 확대 중
📌 대표적인 공급 이슈 사례:
– 2010년: 중국, 일본과의 외교 갈등으로 희토류 수출 제한
– 2023~2025년: 미중 기술 패권 전쟁, 미국 IRA법 반영, 수출 규제 심화
▶ 이처럼 **공급 불안정성**은 희토류 ETF에 강력한 테마성 모멘텀을 부여하는 요인입니다.
3. 대표 희토류 ETF 리스트
✔ VanEck Rare Earth/Strategic Metals ETF (REMX)
– 희토류 및 희귀금속 관련 대표 ETF
– MP Materials, Lynas, China Northern Rare Earth 등 포함
✔ Global X Lithium & Battery Tech ETF (LIT)
– 리튬 중심이지만 희토류 채굴·배터리 가치사슬 포함
✔ KODEX 2차전지소재 ETF (국내)
– 희토류 직접 ETF는 아니지만 관련 소재·부품주 일부 편입으로 간접 노출 가능
📌 국내에는 희토류 단독 ETF는 없지만 글로벌 ETF에 직접 투자 가능 (미국 주식 계좌 필요)
4. 투자 전략: 언제,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?
✔ ① 미중 외교 갈등이 심화될 때 – 수출 규제 뉴스 발생 시 단기 급등 가능성
✔ ② 미국·EU 희소금속 전략 발표 시기 – 전략비축, 자원개발 투자 예산 증액 발표
✔ ③ 친환경 산업 확대 타이밍 – 전기차, 풍력발전 관련 수요 증가가 장기 상승 모멘텀 제공
📌 **테마 변동성은 크지만**, 중장기 흐름은 견고한 편이므로 **분할 매수 + ETF 중심 장기 보유**가 적절합니다.
5. 유의사항 및 리스크 관리
✔ 희토류 ETF는 대부분 **소수의 기업에 집중된 포트폴리오**를 가짐
✔ 수급 불안, 외교 뉴스, 원자재 가격 급등락에 **민감하게 반응**
✔ 일부 ETF는 희토류 외에 니켈, 리튬 등 혼합 자원 노출도 포함
📌 ETF 구성 종목과 최근 리밸런싱 내역은 꼭 확인해야 하며, 단기 트레이딩보다는 **테마가 살아있는 구간에서의 저가 분할 접근**이 효과적입니다.
맺음말
희토류는 ‘하이테크 산업의 비타민’이라 불릴 만큼 첨단 기술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자원입니다.
✔ ETF를 통해 희토류 테마에 접근하면 – 개별 종목 리스크를 줄이고 – 글로벌 공급망 흐름을 반영한 분산 투자가 가능해집니다.
2025년 이후 희귀자원 확보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므로, 지금부터 천천히 흐름을 관찰하고 준비해두는 전략이 필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