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국민연금은 ‘내가 낸 만큼 받는’ 구조지만, 정확히 얼마를 받게 될지는 납부기간, 납입금액, 가입 시점 등 복합적인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**2025년 기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, 실제 가입 조건별로 시뮬레이션**하여 현실적인 비교 자료를 제공합니다.
기준 설명|2025년 국민연금 시뮬레이션 전제 조건
✔ A값(전 국민 평균소득월액): 약 310만 원 (2025년 기준)
✔ 수령 개시 연령: 만 65세
✔ 매달 정액 납부 기준으로 시뮬레이션 진행
✔ 예상 수령액은 물가·소득 변동 등 현실 반영 없이 단순화한 모의 계산입니다.
📌 실제 수령액은 국민연금공단의 ‘내연금’ 사이트에서 공인인증 로그인을 통해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사례 1|가입기간 10년, 월 100만 원 소득자
- 가입기간: 120개월 (10년) - 평균 납입소득: 월 100만 원 - 보험료 납입액: 월 약 9만 원 × 120개월 = 1,080만 원
예상 월 연금 수령액: 약 27만 원 내외
✅ 분석: 가입기간이 최소 기준인 10년에 근접하고, 소득이 낮은 편이라 수령액은 매우 소액 수준.
기초연금 병행 수령
이 필수로 고려되어야 하는 구조.
사례 2|가입기간 20년, 월 250만 원 소득자
- 가입기간: 240개월 (20년) - 평균 납입소득: 월 250만 원 - 보험료 납입액: 월 약 22.5만 원 × 240개월 = 5,400만 원
예상 월 연금 수령액: 약 62만 원 내외
✅ 분석: 적정 수준의 가입 기간과 평균 이상의 소득. 노후소득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
단독으로는 생계 유지용으로 부족할 수 있음
. 퇴직연금 또는 개인연금과의 병행 권장.
사례 3|가입기간 30년, 월 350만 원 소득자
- 가입기간: 360개월 (30년) - 평균 납입소득: 월 350만 원 - 보험료 납입액: 월 약 31.5만 원 × 360개월 = 1억 1,340만 원
예상 월 연금 수령액: 약 91만 원 내외
✅ 분석: 가입기간이 길고 소득도 높아 **수령액 상위권에 해당**. 국민연금만으로도 일정 수준의 생활 안정 가능.
📌
추가로 임의계속가입(60~65세)을 선택할 경우, 월 100만 원 이상도 가능
사례 4|가입기간 40년, 월 400만 원 소득자 (풀타임 고소득 직장인)
- 가입기간: 480개월 (40년) - 평균 납입소득: 월 400만 원 - 보험료 납입액: 월 약 36만 원 × 480개월 = 약 1억 7,280만 원
예상 월 연금 수령액: 약 120만 원 ~ 최대 150만 원대 가능
✅ 분석: 국민연금 수령 가능 최고 수준에 해당. 단,
국민연금은 고소득자에게도 ‘소득대체율’이 점진적으로 낮게 반영됨
.
📌 민간 개인연금 병행 시, 중산층 이상 수준의 노후 가능
맺음말: 내 연금, 지금 체크하고 전략 짜자
국민연금 수령액은 결국 “얼마나 오래 + 얼마나 많이 + 언제까지 납부했는가”에 따라 갈립니다.
가입기간이 부족하다면 ‘추가납부’, 60세 이후에도 수령액을 늘리고 싶다면 ‘임의계속가입’을 통해
실질적인 수령금액을 키우는 전략
이 필요합니다.
📌 국민연금공단 ‘내연금’ 모의계산기를 활용해 지금 바로 당신의 예상 수령액을 확인해보세요. 작은 선택이 큰 노후를 만듭니다.